콘텐츠로 바로가기
  • 대표전화 064-717-1114
  • 사이트맵
  • English
발전후원회
제주대학교병원 로고
아라챗봇 아라챗봇
  • 제주대학교병원

    생명을 소중히, 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제주대학교병원

    병원장 인사말

    미션 l 비전

    연혁

    조직도

    의료장비

    병원로고/캐릭터

    20주년 홍보영상

    발전후원회

    지원부서

  • 이용 안내

    언제나 감사하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제주대학교병원

    찾아오시는 길

    아라 풋살장

    전화번호 안내

    주차 안내

    병원시설 안내

    문병 안내

    증명서 발급 안내

    의무기록 사본 발급/ 의료영상 복사

    처방전 대리수령 구비서류 및 유의사항

    자주묻는 질문

    의료영상 온라인 발급

  • 진료 안내 l 예약

    생명을 소중히, 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제주대학교병원

    진료 안내

    • 외래진료
    • 응급진료
    • 당일수술
    • 비급여 진료비
    • 외국인 환자

    진료예약 신청

    첫 방문 진료예약상담

    진료과

    의료진 정보

    진료예약조회.취소안내 및 내원조회

    클리닉

    전문센터

    입원ㅣ퇴원 안내

    진료시간표

  • 건강정보

    제주도민을 더욱 건강하게, 더욱 행복하게

    건강정보채널

    건강칼럼

    영양정보

    질병정보

    감염병정보

    감염병 공지사항

  • 소식 ㅣ 안내

    사람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인간중심, 환자중심의 병원

    병원소식

    병원 Magazine

    보도자료

    갤러리

    입찰공고

    채용공고

    합격자공고

  • 고객 서비스

    환자와 가족 모두가 행복해지는 행복병원

    칭찬코너

    고객의 소리

    경영공시

    이달의 친절직원

    의료비지원 안내

    정부 3.0이란?

    • 정부 3.0 이란?
    • 정보공개제도 안내
    • 사전정보공개
    • 사업실명제

    사회공헌활동

    • 병원학교
    • KT 꿈품교실
    • 취약계층 간병 및 물품지원사업
  • 청렴마당

    청렴한 병원, 행복한 병원

    청렴게시판

    청렴정보공개

    • 임원 업무추진비 내역
    • 수의계약 현황
    • 진료비 감면내역
    • 부패공직자 현황
    • 청렴교육실적

    부패방지 신고센터

    • 청탁금지법 위반·채용비리 신고
    • 부패행위 신고
    • 행동강령위반신고
    • 공익 신고
    • 공공재정 부정청구 등 신고
    • 이해충돌방지법 위반행위 신고
  1. 진료과
  2. 핵의학과
  3. 질병정보
진료과 이미지

핵의학과
  • 가정의학과
  • 감염내과
  • 내분비대사내과
  • 류마티스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비뇨의학과
  • 산부인과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소화기내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신장내과
  • 심장내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외과
  • 정신건강의학과
  • 정형외과
  • 재활의학과
  • 치과
  • 피부과
  • 핵의학과
  • 혈액종양내과
  • 호흡기ㆍ알레르기내과
  • 심장혈관 흉부외과
  • 병리과
  • 영상의학과
  • 응급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직업환경의학과
  • 내과
Nuclear Medicine 064-717-1301

핵의학과는 방사성추적자를 이용하여 인체의 기능적, 생리적 정보를 얻어 많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기여를 하는 과입니다.

  • 의료진 정보
  • 진료 시간표
  • 질병정보

질병정보

  • 갑상선암
1. 방사성옥소 치료는 왜 하나요?

갑상선은 갑상선호르몬을 만드는 곳인데, 호르몬의 원료로는 옥소를 사용합니다. 인체에 섭취된 옥소의 대부분은 갑상선에서 호르몬을 생산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방사성을 띄는 옥소를 주면 이것이 갑상선 조직으로 들어가고, 거기서 방사선을 내서 조직을 파괴하는 것이 방사성옥소치료입니다.

  1. 갑상선암으로 진단되면 일차적으로 수술을 통해 암 조직을 제거합니다. 그런데 수술로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조직이 남을 수 있으며, 남아있는 정상 갑상선에서 다시 암이 재발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수술 후 남아있는 갑상선암 조직을 모두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방사성옥소 치료입니다.
  2. 재발을 했을 경우에도 암 조직의 치료를 위해서 방사성옥소를 사용합니다.
  3. 갑상선암 외에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경우에도 방사성옥소치료를 하며, 이 경우에는 적은 양을 쓰기 때문에 입원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외래에서 방사성옥소 섭취 후 귀가하시면 됩니다.
2. 어떻게 치료하나요?

보통 수술이 끝나고 1달-2달 경이 지나서 방사성옥소치료를 하게 됩니다. 치료를 다 받으신 후에는 주기적으로 재발여부를 검사하는데, 재발이 발견되면 방사성옥소치료를 합니다.

  1. 예약한 날짜에 방사성옥소 치료실에 입원합니다.
  2. 방사성옥소를 복용 한 후에는 몸에서 방사선이 나오기 때문에 혼자 방에 있게 되며, 외출과 면회는 하실 수 없습니다.(전화 혹은 회상 인터폰으로 면회). 몸에서 나오는 방사선 양이 줄어들어서 주위에 있는 다른 분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 정도가 되면 퇴원을 합니다. 표준적인 입원 기간은 2박 3일입니다.
  3. 이후로는 갑상선호르몬을 먹습니다. 갑상선호르몬을 복용하는 것은 단순히 갑상선을 떼어냈기 때문에 호르몬을 보충하는 것뿐만이 아니고,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혈액검사를 해 가면서 복용하는 양을 조절해서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대부분 1-2회 방사성옥소 치료로 완치되지만 일부에서는 3회 이상 투여하기도 합니다.
  5. 방사성옥소 치료는 여러 날에 걸쳐서 방사선을 쪼이는 방사선 치료와는 달리, 한 번 치료할 때 한 번만 복용합니다. 형태는 알약도 있고 물약으로 공급되기도 합니다.
3. 부작용은 없을까요?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도 있습니다. 방사성옥소는 갑상선조직에만 섭취됩니다. 갑상선에 들어가지 않은 것은 침샘과 소변으로 배출이 됩니다. 갑상선 외의 곳에는 방사성옥소가 남아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침과 소변양이 많아지도록 껌을 씹거나 사탕을 먹고, 물을 많이 마시도록 합니다.

  1. 방사성옥소가 침샘에도 고이기 때문에 나중에 침이 마르거나 음식 맛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침샘에 방사성옥소가 고여 있지 않고 배출이 되도록 껌을 씹거나 사탕, 레몬 등과 같은 신 음식을 복용하고 물을 많이 먹도록 하여 예방합니다.
  2. 입맛이 없어지고 구역질과 구토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방사성옥소를 먹기 전에 미리 위장약을 드립니다.
  3. 방사성옥소를 먹은 후 목에 가벼운 통증을 느끼거나 목이 부을 수 있습니다. 그대로 지내도 좋아지는 정도이지만, 필요하면 진통제를 써서 완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4. 임신 기간 중에는 절대로 방사성옥소 치료를 진행할 수 없습니다.
  5. 방사성 동위원소를 복용하고 수유를 해서도 안 됩니다. 4 주일 정도 피하셔야 합니다.
  6. 방사성옥소 치료를 한 후 최소 6개월 동안은 피임을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6개월 후에는 치료효과를 판정하기 위해서 다시 검사를 하기 때문입니다. 임신 중에는 갑상선암 검사를 하기가 어렵습니다. 임신 시기는 그 후에 결정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4. 특별한 준비가 있나요?

특별히 준비하실 일들이 있습니다. 갑상선호르몬을 끊는 것과 음식조절을 철저하게 하시는 것입니다.

  1. 갑상선자극호르몬이 높아지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야 갑상선조직이 자극을 받아서 방사성옥소를 많이 섭취하고, 치료효과가 높아집니다.
  2. 갑상선호르몬 복용을 중단하면 갑상선자극 호르몬이 올라가게 됩니다. 그래서 방사성옥소 치료 전 2주(사용하고 계시는 약의 종류에 따라서 끊는 기간이 다릅니다) 혹은 4주전부터는 갑상선호르몬 약을 끊습니다. 이렇게 되면 갑상선호르몬이 부족한 갑상선기능저하 상태가 되는데, 몸이 푸석푸석 해 지고, 쉽게 피로해지며 몸의 기능들이 떨어집니다. 방사성옥소 치료가 끝난 다음 다시 갑상선호르몬을 복용하기 시작하면 모두 정상으로 되돌아옵니다.
  3. 이런 불편을 피하기위해서 갑상선호르몬을 끊지 않고 갑상선자극호르몬을 근육주사해서 농도를 높이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기는 하지만, 아직 의료보험에서 인정을 하지 않고 있고, 약값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아직은 추천할 만하지 않습니다.
  4. 혈압약이나 당뇨약, 칼슘약 등 복용하고 계시는 약들은 끊지 않고 계속 복용합니다. 영양제나 보약은 옥소가 들어있을 수 있으므로 될 수 있는 대로 먹지 않습니다. 치료가 끝난 다음이 드시도록 하십시오.
  5. 방사성옥소 치료 2주 전부터는 옥소가 들어있는 음식을 제한해야 합니다. 몸 안에 있는 옥소와, 치료를 위해 먹는 방사성옥소가 서로 경쟁을 하기 때문에, 몸 안에 있는 옥소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음식조절을 위해서는 상식적으로 김, 미역 등을 먹지 않는 정도로는 부족합니다. 음식 조절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따라서 치료효과가 2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미리 영양사와 상담을 하시고, 음식목록과 식단을 받아서 그대로 지키셔야 합니다.
5. 그냥 입원만 하면 됩니까?

미리 입원예약을 하셨기 때문에 병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입원수속을 하고, 병실로 가시면 됩니다. 입원기간은 2박3일입니다.

  1. 입원예약을 하신 날은 아침을 굶고 오십시오. 입원하시는 대로 바로 위장약을 드리고, 조금 있다가 방사성옥소를 드립니다.
  2. 2박3일간 독방에서 외출을 하지 못하고 혼자 생활해야 하기 때문에 간단한 개인물품들을 준비해 오셔야 합니다. 입원예약을 하실 때 미리 준비하실 물건들의 목록을 드립니다.
  3. 입원하고 계시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조금씩 자주 물을 드셔야 합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껌을 씹거나 사탕 등을 먹어서 침이 많이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간단한 방법이지만 이렇게 해서 부작용을 예방하실 수 있습니다.
  4.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병실 내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가족들과 이 카메라를 통해서 면회를 하실 수도 있습니다. 병실에는 전화,인터폰, TV, 비디오와 냉장고가 있습니다.
  5. 방사성옥소를 먹은 후 방사선의 양은 점점 줄어듭니다. 몸 안에 남은 방사선의 양이 다른 줄어들어서, 혼자 독방에 있을 필요가 없다는 정도가 되면 퇴원을 하시게 됩니다. 그렇지만 퇴원 후 며칠 정도는 주변에 있는 다른 사람들을 배려해 주셔야 됩니다.
6. 퇴원 후에는 무엇을 조심해야 하나요?

퇴원 후 3-4일 정도까지는 몸 안에 방사능이 남아있게 됩니다). 며칠 동안은 주의를 해 주십시오.

  1. 임신가능성이 있는 분, 임신부나 유아(계속 안고 있어야 하는)와의 접촉을 피해 주십시오.
  2. 식구들과 따로 사셔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른 사람과 1m 이내의 거리에서 1시간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시면 됩니다.
  3. 손을 자주 씻으시고, 수건이나 목욕용품, 식기, 숟가락 등은 다른 가족들과 함께 사용하지 마십시오. 가급적 다른 사람이 먹을 음식을 만들거나 조리하지 마십시오.
  4. 대소변을 보신 후에는 2-3회 물을 내려 주십시오.
  5. 타인과 잠자리를 피하고 배우자와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을 피해 주십시오.
  • 환자권리장전
  • |
  • 고객서비스 헌장
  • |
  • 병원 윤리강령
  • |
  • 개인정보 처리방침
  • |
  • 비급여 진료비
  • |
  • 경영공시
  • 정부3.0
  • |
  • 온라인제증명발급
    • e-IRB
    • 연구비관리시스템
    • 제주특별자치도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광역치매센터
    • 제주시정신건강센터
    • 제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제주대학교 환경보건센터
    • 제주도청
    • 제주시청
    • 서귀포시청
    • 국민건강보험공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질병관리본부
    • 보건복지부
    • 대한민국정보공개포털
    • 국세청
6324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란13길 15 (아라일동)
대표번호 : 064 - 717 - 1114
2014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ll rights reserved.
보건복지부 인증의료기관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공헌 인증기관